편도선은 목(인두) 주변에 있는 임파 조직의 일종인 작고 둥근 덩어리로 면역기능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흔히 입을 열면 보이는 목젖 양쪽에 있는 둥근 덩어리를 편도라 하지만 이는 구개 편도이고, 목젖 뒷부분 보이지 않는 곳에 인두 편도 즉 아데노이드가 있습니다. 또한 혀에 위치한 설편도, 유스타기오관의 구강 쪽 입구에 존재하는 이관 편도가 있습니다. 이처럼 편도선에는 구개편도, 인두편도, 설편도, 이관 편도 4가지가 있으며 이들이 마치 링(Ring) 구조와 같다고 해서 Waldeyer's ring이라고도 부릅니다.
편도선 기능
편도선의 기능에는 입과 코로 들어 오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막아주는 방어 기능이 있습니다. 이 방어 기능은 항체 생성이 가장 필요한 소아기 때에 왕성하다가 사춘기를 전후해서 점차 저항력이 증가되면서 편도선의 면역 기능은 줄어 든다고 합니다.
이 외에 조형 기능성, 내분비 기능설 등 다양한 편도선 기능에 대한 이론들이 있습니다.
편도선 수술
편도선이 방어 면역 기능과 연관되어 있다 보니 바이러스나 세균들에 의해 직접 감염되거나 상기도 감염 등으로 인한 2차 감염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염증 반응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면 편도선이 비대 해 지기도 합니다.
비대해진 편도는 코에서 후두로 넘어가는 통로를 폐쇄시켜 호흡에 지장을 초래하고, 항상 입으로 숨을 쉬게 되며, 코골이, 수면무호흡증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관 기능에도 영향을 주어 삼출성 중이염을 속발시키기도 하고, 부비동염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편도선이 커졌다고 해서 모두 증상을 호소하거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심한 증상으로 합병증이 예상되는 경우에 전신마취 하에 편도선을 완전히 떼어 내는 수술, 국소마취 하에 전기소작기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편도선을 부분 절제하는 방법, 국소마취 하에 고주파 등으로 편도선을 축소시키는 방법 등의 수술적 치료를 고려 해 볼 수 있습니다.
고주파 편도위축술
고주파 편도 위축술이란 비대해진 편도선에 고주파 침을 꽂아 해당 조직을 위축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는 편도선 부분을 절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상 점막이나 주위 혈관 부분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통증이나 출혈의 위험이 감소합니다.
고주파 편도위축술 특징
국소 마취 하에 약 20분 정도 시술합니다.
편도절제술에 비해 출혈이나 통증의 위험이 적습니다.
또한 정상 점막이나 주위 현관들의 손상도 적습니다.
편도선을 위축시키므로 편도선 적출에 대한 반감이 없습니다.
당일 치료가 가능함으로 입원에 대한 부담감이 없습니다.
고주파 편도위축술 적응술
편도선이 후구개궁을 벗어날 정도이나 서로 마주치지는 않은 상태
편도선이 후구개궁을 벗어나 서로 마주칠 경우
고주파 편도위축술은 모든 편도선 비대증 수술에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편도선 비대 정도와 이로 인한 합병증 유무에 따라 편도절제술 등이 필요 할 수 있습니다.